"직장 옮기고 싶은데..." 20대 네팔노동자의 '유서'

 
 지난 6일 네팔에서 건너온 젊은 노동자 깨서브 스래스터(Keshav Shrestha)가 신병을 비관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사진은 그가 남긴 유서(사진 청주네팔쉼터)
▲  지난 6일 네팔에서 건너온 젊은 노동자 깨서브 스래스터(Keshav Shrestha)가 신병을 비관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사진은 그가 남긴 유서(사진 청주네팔쉼터)
ⓒ 충북인뉴스

관련사진보기


"안녕하세요. 여러분. 저는 오늘 세상과 작별인사를 합니다. 제가 세상을 뜨는 이유는 건강문제와 잠이 오지 않아서 지난 시간 동안 치료를 받아도 나아지지 않고, 시간을 보내기 너무 힘들어서 오늘 이 세상을 떠나기 위해 허락을 받습니다. 회사에서도 스트레스를 받았고, 다른 공장에 가고 싶어도 안 되고, 네팔 가서 치료를 받고 싶어도 안 됐습니다. 제 계좌에 320만 원이 있습니다. 이 돈은 제 아내와 여동생에게 주시기 바랍니다. (네팔이주노동자 깨서브 스래스터가 남긴 유서. 번역 청주네팔쉼터)

지난 6일 새벽 4시, 스물 일곱살의 네팔 출신 이주노동자 깨서브 스래스터(Keshav Shrestha)씨가 회사 기숙사 옥상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그는 자살하기 전 새벽 3시까지 동료들과 대화를 나눴지만, 동료들은 그의 극단적인 선택을 미처 예감하지 못했다.

청주 이주민노동인권센터 안건수 소장에 따르면 깨서브 스래스터씨는 지난 2016년 2월 한국에 입국했다. 이후 경기도에 소재한 S사에서 일을 시작했지만 회사가 이전해 충북 충주시로 거주지를 옮겼다.

깨서브 스래스터씨는 12시간 주야 맞교대로 운영되는 노동환경에 적응하지 못했다. 적응에 어려움을 겪던 그는 급기야 잠을 제대로 자지 못했고 심한 불면증으로 악화됐다. 극심한 불면증에 시달리던 깨서브 스래스터씨는 회사에 고통을 호소했고 지난 5월 경 주간근무만 하는 것으로 근무형태를 변경했다.

ad
주간근무로 전환했지만 불면증은 나아지지 않았다. 깨서브 스래스터씨는 고국인 네팔을 다녀오는 지인을 통해 현지 약을 구입하려 했다. 그의 부탁을 받은 지인은 약을 구매하려 했지만 당사자가 없이는 약을 처방 받을 수 없었다.

깨서브 스래스터씨의 동료들을 면담한, 청주네팔쉼터를 운영하는 수니따씨에 따르면 최근 그는 회사측에 이직에 동의를 해주거나 네팔에 가서 잠시 치료를 받게 해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상황은 그의 유서에도 언급된다. 깨서브 스래스터씨는 유서에서 "다른 공장에 가고 싶어도 안 되고, 네팔 가서 치료를 받고 싶어도 안 됐습니다"라고 밝혔다.

고용주 동의 없으면 이직 안돼

정부는 현재 고용허가제라는 제도를 통해 외국인 노동자들의 취업을 규제하고 있다. 고용허가제에 따르면 이주노동자들은 고용주가 근로기준법 등 실정법을 위반 한 경우 외에는 사업주의 동의 없이 다른 회사로 옮길 수 없다.

깨서브 스래스터씨는 결국 회사의 동의를 얻지 못했고 고국으로 일시 귀국해 치료를 받는 것도 어려워지자 극단적 선택을 했다. 

인권단체 관계자들은 고용허가제의 여러 조항 중 위 조항이 개인의 인권을 침해하는 대표적인 독소조항이라고 지적한다.

안건수 소장은 이번 일을 "고용허가제에서 사업주의 허락 없이는 직장 변경을 불가능하게 해서 발생한 사건"이라고 규정했다. 

수니따 씨는 "한국 사람은 취직 후 회사를 옮기고 싶으면 쉽게 옮길 수 있지만 외국인 노동자는 고용허가제 때문에 고용주가 허락하지 않으면 지금 있는 회사가 좋지 않아도 옮기기 어렵다"며 "직장 변경만 되었더라도 그의 죽음은 막을 수 있었을 것"이라고 안타까워 했다. 

깨서브 스래스터씨의 안타까운 죽음이 끝은 아니었다.

 9일 청주목련공원 장례시작이에서 입국한지 일주일만에 열사병으로 사망한 러시아 브랴트 족 바지르씨의 장례식이 치뤄졌다.(사진 안건수 청주이주민노동인권센터 대표)
▲  9일 청주목련공원 장례시작이에서 입국한지 일주일만에 열사병으로 사망한 러시아 브랴트 족 바지르씨의 장례식이 치뤄졌다.(사진 안건수 청주이주민노동인권센터 대표)
ⓒ 충북인뉴스

관련사진보기


수니따씨에 따르면 지난 8일 충남 천안시 한 돼지농장에서 일하던 26세의 또 다른 네팔노동자가 같은 이유로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수니따씨는 "매일 매일 이런 일이 생겨 너무 슬프다. 회사에 적응하지 못해 힘들어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이것만 해결해도 비극은 없어질 것"이라며 "회사를 변경하기가 너무 까다롭고 어렵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죽음도 있었다. 지난 7월 27일 입국해 세종시 건설현장에서 일하던 러시아 국적의 부랴트 족 바지르씨는 열사병에 쓰러져 숨을 거뒀다. 안건수 소장에 따르면 7월 27일 입국한 바지르씨는 8월 1일과 2일 이틀을 일했다. 그의 한국생활은 7월 27일부터 8월 3일까지 단 일주일에 불과했다.

청주네팔쉼터 대표 수니따씨는 "사람을 위해 만든 제도가 사람을 죽인다면 그 제도는 과연 누구를 위해 만든 제도일까요?"라고 힘없이 물었다.

prof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