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옆에 다가선 외국인 이웃들]

외국인 주민 200만명 넘었다

행안부 '2018 외국인현황' 발표 … 경기도에 가장 많이 거주

53만명 중국동포 최다 … 다문화 가족 100만명, 학생 14만명

등록 : 2019-11-18 11:45:02

외국인 근로자와 결혼이주자 등 지난해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외국인 주민 수가 처음으로 200만명을 넘어섰다. 2009년 100만명을 돌파한 후 9년 만에 2배가 늘었다. 이런 사실은 행정안전부가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자료를 활용해 발표한 '2018년 지방자치단체 외국인 주민 현황'에 따라 확인됐다.

이에 따르면 우리나라 외국인 주민 수는 지난해 11월 기준 205만4621명이다. 이는 내·외국인을 합한 국내 총인구 5162만9512명의 4%에 달한다. 218만1416명인 충청남도보다는 적고 전라북도 인구 181만8157명보다 많았다. 17개 시도 인구 전체와 비교하면 9번째에 해당한다.


◆가파른 증가세 눈길 = 주목할 점은 외국인 주민 증가속도가 가파르다는 것이다. 2015년 171만1000여명에서 2016년 176만4600여명으로 늘었다. 2017년 186만1084명과 비교해도 10.4%(19만3537명)나 증가했다. 이런 증가세는 출산율 저하로 해마다 감소하는 0∼4세 내국인 수와 비교된다. 지난해 0∼4세 인구는 지난해 처음으로 200만명 선이 무너진 196만7942명이었다. 2015년 223만5397명보다 26만7400여명(12%) 감소했다.

외국인 주민은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장기체류 외국인(외국인근로자·외국국적동포·결혼이민자) 귀화자 외국인 주민 자녀 등을 말한다. 장기체류 외국인이 165만1561명(80.4%)으로 가장 많다. 이어 귀화자 17만 6915명(8.6%), 외국인 주민 자녀(출생) 22만6145명(11.0%) 순이다.

장기체류 외국인 가운데 32%는 외국인 노동자이며 기업투자 등을 위해 한국에 머무르는 외국인 비중도 31.4%에 달했다. 중국동포 등 외국 국적 동포도 17.9%를 차지했다.

외국인 주민 수를 지역별로 보면 61.8%가 수도권에 거주한다. 경기가 67만2791명(32.7%)으로 가장 많았으며 서울(44만6473명·21.7%), 경남(12만3947명·6%), 인천(8만8489명·5.4%)이 뒤를 이었다. 시·군·구 별로 보면 경기 안산시가 8만9093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경기 수원시(6만3931명), 경기 화성시(5만9278명), 서울 영등포구(5만6483명)로 집계됐다. 외국인 주민이 1만명 이상이거나 인구 대비 5% 이상 거주하는 기초 지자체는 82곳으로 경기도 23곳, 서울 17곳, 경북·경남 각각 7곳, 충남 6곳이었다.

한국 국적을 보유하지 않은 외국인(장기체류 외국인) 국적은 중국동포(한국계 중국인)가 53만1263명(32.2%)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중국인 21만5367명(13%), 베트남 16만9177명, 태국 15만1104명, 미국 6만6003명, 우즈베키스탄 5만7998명, 필리핀 4만7532명, 캄보디아 4만5144명, 인도네시아 3만8890명, 네팔 3만7346명 순이었다.

한국으로 귀화한 외국인 주민들의 출신 국가 역시 중국이 많았다. 중국동포 출신이 8만3347명(47.1%)으로 가장 비중이 컸고 한국계가 아닌 중국인이었던 이들도 20.4%에 달했다. 이어 베트남인 18.2%, 필리핀인 4.8% 등이 뒤를 이었다.

◆사회적 인식부터 개선돼야 = 이처럼 외국인 이웃이 급속히 증가하지만 이를 바라보는 사회인식은 아직 개선해야 할 게 많다. 문화체육관광부의 문화다양성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외국인 노동자의 경우 '문화다양성의 가치가 충분히 확산되고 있다'는 항목이 5점 평균에 3.2점으로 조사됐다. '소수자들의 권익이 충분히 보장된다'에 대한 항목은 3.05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 결혼 이주민의 경우 '문화다양성이 용인되는 사회이다'는 항목이 3.42점으로 나타났으며 '사회문화적 차이가 차별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항목은 3.09점에 그쳤다.

또한 '2018 서울서베이'에 따르면 외국인과의 관계에 대한 태도에서 '이웃으로 수용'은 10점 만점에 6.31점 '친구로 수용'은 6.23점으로 나타났다. 특히 '결혼 후 가족으로 수용'은 5.63점에 머물렀다.

우리 사회에서 차별받을 가능성이 있는 요인에서도 '국적'이 6위에 올랐다. 서울 거주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조사(중복 응답)에서는 출신 국가(55.5%), 한국어 언어능력(41.3%), 경제요인(24.3%), 외모(14.5%), 직업(14%) 순으로 차별받고 있다고 응답했다.

◆100명 중 2명은 다문화 가족 = 또한 귀화한 외국인이나 한국인과 혼인한 외국인으로 이루어진 다문화가구의 가구원은 100만8520명으로 집계됐다. 한국인 배우자를 둔 외국인이 31만1668명(30.9%)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외에 결혼이민자 16만5919명(16.5%), 귀화자 16만6830명(16.5%), 자녀 23만5282명(22.9%), 기타 동거인 12만8821명(12.5%)으로 구성됐다.

국민 100명 중 2명은 다문화가정 구성원인 것이다. 국내 다문화 가구원이 100만명을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국내 다문화 숫자는 2015년 88만8000명, 2016년 96만3000명, 2017년 96만4000명으로 꾸준히 늘었다.

다문화 인구의 증가를 가장 뚜렷하게 체감할 수 있는 곳은 초·중·고교 교실이다. 교육부의 '2019 교육기본통계'에 따르면 2018년 초·중·고교의 다문화 학생 수는 13만7225명으로 전체 학생의 2.5%를 차지한다.

다문화 학생 수는 교육부가 관련 통계를 집계한 2012년 이래 꾸준히 늘고 있다. 2018년 다문화 학생 숫자도 전년보다 1만5013명(12.3%) 증가했다.

학교 급별로 보면 초등학교는 10만3881명으로 전년 대비 1만854명(11.7%) 증가했다. 중학교는 2만1693명으로 전년보다 3065명(20.1%)이나 폭증했다. 고등학교의 다문화 학생 수는 1만1234명으로 전년 대비 546명(5.1%) 증가했다.

중학교 내 다문화 학생이 많이 늘어난 것은 2000년대 초중반 결혼이주여성과 한국인 배우자 간 국제결혼이 급증했기 때문이다. 한국인 남편과 외국인 아내의 결혼 건수는 1999년 5370건에 불과했으나 2001년 9684건, 2003년 1만8750건으로 뛰어올랐고 2005년에는 3만719건으로 정점을 찍었다가 이후 감소하고 있다.

외국인 남편과 한국인 아내의 결혼 건수도 1999년 4453건, 2001년 4839건에서 2003년 6025건, 2005년 1만1637건으로 증가했다가 이후 1만명 아래로 떨어졌다.

다문화 가구가 계속 늘어나는 만큼 이들을 특수한 존재로 해석하기보다는 대한민국 내 보편적 집단으로 수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서울시교육청의 경우 중국 동포 밀집 지역인 구로·금천·영등포 등 남부 3개 구 초·중·고교 가운데 이중언어 교육을 원하는 학교를 자율학교로 지정해 '중국어'를 정규 과목으로 편성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자율학교는 교육 과정의 30%까지 자율적으로 정할 수 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이중언어 교육은 중국 학생들에게 한국의 언어와 문화를 가르치는 것이 기본이고, 동시에 한국 아이들에게도 중국어와 중국 문화를 가르쳐 서로 상생하자는 의미"라면서 "베트남 학생들이 늘고 있는 은평구 등도 이중언어 교육의 필요성을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prof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