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위기에 애꿎은 다문화가정 `눈총'

식당 손님 안 올라… 중국인 종업원들 대화도 못해
외국인노동자 1만여 명… 중국, 조선족 등 1,000명 정도
“다문화 가정 차별로 번질 수 있어"… 대안 마련 시급

기사 작성:  양정선 
- 2020년 02월 27일 17시59분
IMG

코로나에 3.1절 기념식도 취소

코로나19 확산 사태에 전북도청에서 열릴 예정이던 전북지역 3.1절 기념식도 전격 취소됐다. 사진은 3.1절을 앞두고 27일 초대형 태극기를 내건 도청 앞을 지나가고 있는 한 시민. /정성학 기자





■코로나가 불러온 중국 혐오



2년 전 한국에 들어온 중국 이주여성 A(31)씨. 암 투병 중인 아버지 치료비를 위해 김제 한 음식점에 취업한 그는 최근 ‘일 잘하는 막내’에서 ‘구박덩이’ 신세가 됐다. 코로나19가 불러온 중국 혐오가 원인이다. A씨는 “식당에서 함께 일하는 친구와 중국어로 대화하는 것 때문에 많이 혼난다”며 “지금은 주방 밖으로도 잘 못나오게 한다”고 토로했다.

식당 관계자는 A씨의 불만을 인지하고 있지만 어쩔 수 없다는 입장을 내놨다. 식당을 찾는 손님들이 불안해 한다는 이유다. 기자와의 통화에서 식당 관계자는 “식당을 찾는 분들이 불안해해서 중국어로 대화하지 말라고 했다”며 “상황을 제대로 설명해주지 않은 점은 반성한다”고 했다.

코로나19가 불러 온 중국 혐오 불씨가 외국인 노동자에게 번지고 있다. 결혼이주여성과 다문화가정에 대한 차별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해 보인다.

27일 전북도 등에 따르면 전북지역 외국인 노동자는 1만7,093명이다. 이 중 중국 또는 한국계 중국인은 약 1,000명 인 것으로 파악된다. 도 관계자는 “출입국 사무소 등을 통해 관리되고 있는 외국인 근로자는 코로나 사태 발생 전부터 한국에 체류 중이던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고 했다. 감염 우려 등으로 차별 받을 이유가 없다는 뜻이다.

원광대학교 사회학과 모 교수는 “코로나19가 중국에서 시작됐다는 이유로 중국과 관련 있는 모든 것에 혐오감을 표현하는 건 문제가 있다”며 “결혼이주여성이나 다문화가정에 대한 차별과 상처로 이어질 수 있다”고 했다.

한국어가 서툴고 사회적 네트워크가 부족한 이주여성의 경우 차별에 더 취약할 수밖에 없다. 피해 사실을 외부로 알리기 쉽지 않아서다. 차별에 대한 피해는 이주여성에게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올해 8살이 된 딸아이를 둔 중국 출신 이주여성 박모(34)씨는 “최근 딸아이가 ‘엄마가 중국인’이란 이유로 친구들 사이에서 놀림을 당했다”며 한숨을 쉬었다. 그러면서 “중국인이 코로나바이러스를 가지고 있는 것도 아닌데 억울했다”면서 “초등학교에서도 같은 일이 반복될까 걱정이다”고 했다.

전주대학교 사회복지과 B교수는 “코로나로 인한 중국 혐오가 다문화가정으로 번지는 건 큰 문제”라며 “학교 내 놀림이나 차별로 이어지지 않도록 교육 등 대책 마련이 필요해 보인다”고 했다. /양정선 기자


코로나외국인혐오 이미지 검색결과
(경기도 남양주시 마석 지역에서 이주민인권단체 캠페인 모습)

prof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