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정책, 이주노동자 배제 말아야"(종합)

 
바람직한 다문화사회 모색 세미나 국회서 열려

(서울=연합뉴스) 구정모 기자 = 우리 사회의 화두가 된 다문화 현상을 인식과 역사, 리더십 측면에서 조명하는 학술세미나가 열렸다.

경희대 언론정보대학원(원장 이인희)과 한나라당 김성동 의원은 25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국회도서관에서 '다문화 시대의 역사교육과 새로운 리더십'을 주제로 학술세미나를 공동 개최했다.

이 세미나에서 '미디어 보도를 중심으로 다문화 사회의 인식과 정체성'에 대해 발표한 연합뉴스 양태삼 기자는 '다문화'라는 용어 사용의 부적합성을 꼬집었다.

그는 다문화란 용어가 우리 사회에서 '동남아 이주여성과 관련된 문화'를 가리키고 있지만, 다문화의 뿌리는 미국이나 캐나다, 호주와 같은 이민국가에서 제각각 고유의 문화를 인정하자는 다문화주의에서 비롯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다문화가 결혼이주여성을 중심으로 논의가 이뤄지는 데 따른 문제점을 들었다. 이주노동자가 16만명에 달하고 중국동포까지 포함하면 이주노동자가 다문화의 한 부분인데, 정부 정책이나 사회적 관심에서 이주노동자가 배제되고 있다는 게 그의 지적이다.

양 기자는 아울러 이주노동자가 미디어에서 다뤄지는 것은 이들이 범죄를 저질렀을 때이고, 다문화 관련 보도는 언론사의 광고주인 대기업이 다문화 관련 사회공헌활동을 할 때가 대부분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이주노동자들은 한국에 자신의 꿈을 일구려 왔다. 이들을 이 땅에서 함께 살아가는 동료로 인정하고 이들의 어려움을 들어주고 덜어주려고 노력해야 하고, 미디어가 이를 이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나아가 언론이 이주민을 온정주의 시각으로 다루기보다는 이들의 자립과 자활 프로그램을 촉구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제언했다.

소설 '근초고대왕'의 저자인 윤영용 작가는 '다문화 시대와 역사의 재조명'을 주제로 한 발표에서 우리가 다문화사회로 가기 위해선 단일민족의 이데올로기를 깨는 데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윤 작가는 "단군신화라는 시조설화에 다른 민족, 이종간 결합을 다룬 이야기가 있는데, 현재의 우리는 단일민족이란 동굴에 갇혀 있다"며 역사적으로 우리 민족은 단일 민족이 아님을 설파했다.

그는 "생물의 한 종이 단일성을 유지할수록 퇴화하듯이 우리가 단일민족 사회구조를 가지면 가질수록 사회 전체가 붕괴될 것"이라며 "단일민족이 우리 우수성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패배주의를 극복하기 위해 우리끼리 갖고 있었던 것"에 불과하다고 단언했다.

그는 순혈주의를 극복하기 위해 역사와 문화를 연구할 때 '아시아적 시야'를 가질 것을 충고했다.

윤 작가는 "아시아 전역을 누볐던 사람들이 일본과 중국의 조상이면서 우리 조상이며 우리 콘텐츠라고 본다면 서로 자기네 역사라고 싸우지 않고 더불어 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문화시대의 새로운 역사 리더십'을 발표한 김성동 의원은 혈연에 기반한 인종적ㆍ문화적 동질성에 묶이기보다는 역사, 언어, 정치전통을 공유하는 새로운 정체성을 유지하는 방향에서 다문화에 접근할 것을 제안했다.

그는 우리나라의 다문화정책이 ▲동화정책에 기반을 둔 소수 문화집단 흡수 ▲일방통행식ㆍ시혜주의식 정책 ▲부처별 업무중복 및 다문화 국가전략 부재 등의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다문화가정 2세의 교육 문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김 의원은 "이들은 우리가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하는데 중요한 동량이 될 수 있다"며 "누구나 사회 주류층이 되고 꿈을 실현할 수 있는 최소한의 교육을 보장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다양성과 조화'의 가치를 지향하는 한국형 다문화사회 모델을 만들고, 예산낭비와 거품행정을 일소할 국가 차원의 다문화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그는 "우리 사회는 지역, 세대, 계층간 갈등이 어느 사회보다도 치열한데, 여기에 인종, 출신 문화 배경에 대한 갈등까지 겹치면 굉장히 혼란해 질 것"이라며 "혈연, 인종, 문화가 다른 소수집단과의 더불어 살기, 다양성 존중의 통합정책은 국가통합과 국격을 높이는 추동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의원은 "우리 사회는 다문화가 뉴 프런티어를 열어줄지 심각한 갈등의 씨앗이 될지 기로에 서 있다"며 "국민이 재한 외국인을 진정한 이웃으로 받아들이고 존중하는 인식을 지니는 게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pseudojm@yna.co.kr
prof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