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리얼] '노동착취' 아프리카 예술가, 한국 떠나지 못한 이유

2014년 '포천아프리카박물관 노동 착취 사태' 그 이후

아프리카 만딩고 댄스 커뮤니티 '쿨레 칸' 

새누리당 홍문종 사무총장이 27일 오후 국회 정론관에서 귀향 기자회견을 가지는 포천 아프리카 예술박물관 이주노동자들에게 고개를 숙이고 있다. 윤창원기자
2014년 2월, 수많은 이들의 분노를 샀던 '포천아프리카예술박물관 노동 착취 사태'를 알고 계시나요? CBS노컷뉴스의 단독 보도 이후 이 사건이 일파만파로 퍼져나간 건, 인종차별은 바로 우리 옆에서 벌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적나라하게 드러냈기 때문이었습니다.

당시 아프리카 현지에서 발탁돼 박물관에 온 무용수, 악기 연주자, 조각가 등 여러 분야의 예술가들은 2년이 넘는 기간에 최저임금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월급 약 50만 원을 받으며 일해야 했습니다. 계약서에도 없는 초과 노동을 감내하면서 식비는 한 끼에 겨우 4000원을 받았습니다.

제공받은 숙소는 폐가 수준이었습니다. 난방은커녕, 고향으로 가져갈 선물을 쥐가 다 파먹어버릴 정도로 시설은 열악했습니다. "생활하기 어렵다"고 항의하자 '아프리카 사람이니까 1달러면 하루종일 살 수 있지 않냐'는 이해하기 어려운 답변만이 돌아왔습니다. 

이 사건은 당시 여당 사무총장이었던 홍문종 의원이 이사장으로 있어 더 큰 파문이 일기도 했습니다. 여론의 비난이 쇄도하자 부랴부랴 합의서를 작성하고 예술가들이 고향으로 돌아가면서 논란은 일단락되는 듯했습니다. 

최근 모델 한현민 군이 타임지 '2017 영향력있는 10대 30명'에 선정되면서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그는 최근 BBC코리아와의 영상 인터뷰를 통해 "'흑형'이라는 말을 들으면 심장이 딱 멎는다"고 말한 바 있는데요. 인종차별은 어디에나 숨 쉬고 있다는 사실을 새삼 깨닫고 있는 요즘, 문득 궁금해졌습니다. 당시 아프리카 예술가들은 어디서 무엇을 하고 있을까? 

사태의 중심에 서서 현실을 고발했던 부르키나 파소 출신 무용수 엠마누엘 사누(37). 그에게 끔찍한 기억을 남긴 한국에, 그는 여전히 남아서 자신만이 할 수 있는 일을 하고 있었습니다.

그는 당시 고발 과정에서 그를 도와주었던 소영 씨를 비롯한 새로운 동료와 함께, 고향 부르키나 파소의 춤을 추고 음악을 연주하는 커뮤니티 '쿨레 칸'을 만들어 온몸으로 행복과 인간애를 나누고 있습니다. 동시에 최근에는 한국에서 겪은 인종차별 경험을 담아낸 공연 <데게베>를 통해 사건은 끝나지 않았다는 사실을 알렸습니다. 




엠마누엘 사누는 어떤 사람이고, 그를 한국을 떠나지 못하게 만든 동료들은 어떤 사람들일까요? 아는 사람마다 엄지를 치켜세운다는 '쿨레 칸'은 대체 어떤 모임일까요? 영상으로 꼭 확인해보세요. 



원문보기: 
http://www.nocutnews.co.kr/news/4893523#csidxfe1417c9262d88680eacbe00af0ccb9 
prof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