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민법은 있으나 돈이 없다 [2013.10.07 제980호]
[표지이야기] 기획연재 국민과 난민사이 ① 난민들의 한국살이 7월1일 시작된 ‘아시아 최초’의 난민법… ‘예산 없다’는 이 유로 지원 신청도 받지 않고, 출입국 공무원의 자의적 기 준으로 신청 거부되기도
profile
           
지난 7월1일, 아시아에서는 처음으로 한국에서 난민법이 시행됐다. 법무부는 ‘아시아 최초 독립된 난민법 시행, 난민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 가능’이라는 제하의 보도자료를 내놨다. 지원보다는 출입국관리법에 따른 ‘통제’와 ‘관리’를 받아왔던 국내 난민들의 처지가 획기적으로 개선될 것처럼 보였다.

절반에게만 열린 난민지원센터

난민법의 내용은 크게 난민 인정 절차와 처우 규정으로 나뉜다. 난민 인정의 결정적 자료가 되는 면담조서 작성 절차를 강화한 것은 긍정적으로 꼽히는 대목이다. 난민심사관 면담 과정에 신뢰 관계자의 동석을 허용하고 전문적인 통역을 지원하기로 했다. 신청자 본인이 나중에 면담조서를 열람할 권리와 조사 과정의 녹음·녹화를 요청할 수 있는 권리도 새로 생겼다. 공항 등 출입국항에서 난민 인정을 신청할 수 있도록 한 것도 바뀐 대목이다.

새로운 법에는 난민의 생존을 위한 권리도 새겨졌다. 고국의 정치적 박해로부터 급박하게 빠져나온 난민들에겐 새로운 사회에서 삶을 시작하기 위한 초기 지원이 필수적이다. 6개월 안에 난민 심사 결과가 나오지 않을 땐 난민신청자가 취업 허가를 받을 수 있게 하고, 그때까지 생계비를 지원할 수 있는 근거도 마련했다. “커다란 진전”이라는 기대가 나왔다.

» 지난 9월25일 인천시 영종도에 세워진 난민지원센터(출입국지원센터)를 한 지역 주민이 바라보고 있다. 법무부는 9월2일 센터를 개관하려 했지만 지역 주민들의 반대로 문을 열지 못했다.엄지원
난민법 시행일로부터 3개월 가까이 시간이 지나면서 현장에선 기대보다 우려의 목소리가 묻어나고 있다. 애초에 지원을 의무화하지 않고 담당자의 재량에 맡긴 것이 화근이다. 법은 “(법무부가 난민 신청자의) 취업을 허가할 수 있다”거나 “생계비를 지원할 수 있다”고만 정하고 있다. 실제로 7월1일부터 법이 시행됐지만 법무부는 “올해 예산이 없다”는 이유로 지원 신청도 받지 않고 있다. 예산이 없어 정부가 마련하지 못한 것은 또 있다. 면담을 기록하기 위한 녹음·녹화 장비다. 처우뿐 아니라 난민 인정 절차도 제자리걸음인 것이다. 김성인 난민인권센터 사무국장은 “법이 통과된 뒤 시행까지 1년6개월 정도의 시간이 있었는데도 예산을 마련하지 못했다고만 하는 것은 아쉽고 무책임한 행정”이라고 말했다.

대신 정부는 예산을 한곳에 쏟아부었다. 인천 영종도에 연면적 2천평(6612m²) 규모의 건물을 짓는 데 133억원이 투입됐다. 동시 수용 인원 100명이 3개월씩, 연간 총 400여 명의 난민이 지낼 수 있는 난민지원센터(출입국지원센터)다. 국내 난민신청자가 이미 연간 1천 명이 넘는 것을 고려하면, 절반이 넘는 난민신청자에겐 입소 기회조차 주어지지 않는다. 9월 중 예정됐던 센터 개청은 그나마 지역 주민의 반대 여론에 가로막혀 기약 없이 미뤄진 상태다.


법 시행일 기준으로 나뉘는 희비

법 시행 뒤 최초로 난민 인정 신청을 하는 이들에게만 법을 적용하도록 한 부칙 제2조는 위헌 가능성까지 제기된다. 난민 인정 절차뿐 아니라 처우 규정도 지난 7월1일 이후 난민신청자에게만 적용돼 “헌법상 평등권 위반의 소지가 있다”는 것이다. 부칙대로라면 법 시행 직전인 지난 6월30일 난민 인정을 신청한 사람은 난민법 적용 대상자가 아니다.

‘아시아 최초’가 아니라 ‘세계 최초’라도 법의 정의는 스스로 구현될 수 없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법 시행 주체인 법무부와 현장 공무원의 의지다. 공익법센터 ‘어필’의 김종철 변호사는 “법이 바뀌었지만 공항에서의 난민 인정 신청을 출입국 공무원이 거부한 일이 몇 차례나 있었다. 난민의 권리 중 가장 핵심적인 ‘강제송환 금지’의 원칙마저 출입국 공무원의 자의적 기준에 따라 무시될 가능성이 여전히 남아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엄지원 기자 umkija@hani.co.kr


번호
제목
글쓴이
1990 외국인 노동자 고통스런 삶 관객들이 알아줬으면 …
이주후원회
14798   2015-07-03 2015-07-03 15:20
외국인 노동자 고통스런 삶 관객들이 알아줬으면 …[중앙일보]입력 2015.06.25 00:19 / 수정 2015.06.25 00:30JTBC ‘비정상회담’ 가나 대표 샘 오취리, 스크린 데뷔 최근 TV 예능 프로그램에서 군대생활을 경험한 샘 오취리는 ...  
1989 "화장실 가둬놓고 물세례, 폭행...외국학생이라고 왕따"
이주후원회
14769   2015-02-23 2015-02-23 22:12
"화장실 가둬놓고 물세례, 폭행...외국학생이라고 왕따"[우리 함께, 이주노동자④] 재한 몽골 외국인학교 우린토야 뎀베렐도리지씨15.02.13 16:30l최종 업데이트 15.02.13 16:30l 김혜원(happy4) 크게l 작게l 인쇄l URL줄이기 스크랩 2...  
1988 500만달러 이상 투자 외국인에 영주권 file
이주후원회
14677   2004-06-12 2004-06-12 01:08
법무부는 출입국심사를 지속적으로 간소화해 나가되 불법체류 외국인에 대한 단속은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국정브리핑 2004-06-11 17:56] 법무부는 11일 대회의실에서 김상희 차관 주재로 전국 출입국관리기관장 회의를 갖...  
1987 [샐러드TV]'뱃지를 단 살인자들, 제복을 입은 범죄자들'
이주후원회
14649   2010-07-07 2010-07-07 11:50
'뱃지를 단 살인자들, 제복을 입은 범죄자들' 이주노동자 폭행·인권유린 수원출입국관리소 규탄 기자회견 이미 여러차례 물의를 빚은 적 있던 출입국관리소의 횡포가 나날이 심해지고 있음이 또 한번 확인됐다. 이후 인터넷 민원이...  
1986 이주노동자 연행 저지한 단체 간부 구속 논란 file
이주후원회
14609   2004-06-12 2004-06-12 01:05
▲ 대구 출입국관리소는 지난 3월 10일 당시 이주노동자에게 수갑을 채운 적이 없다고 했지만 당시 이 이주노동자는 14시간여 동안 수갑을 찬 채 방치돼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사진은 대구 이주노동자대책위가 증거로 제시한...  
1985 “파독 간호사때 받은 만큼” file
이주후원회
14575   2004-06-14 2004-06-14 22:41
[한겨레 2004-06-14 19:17] 이주 노동자 돕기 ‘품앗이’ “이주여성노동자로서 받았던 도움과 사랑을 다시금 나와 같은 처지의 사람들에게 나누는 것뿐입니다.” 1970년 스무살 꽃다운 나이에 간호사로 독일행 비행기에 몸을 실...  
1984 절망한 이주노동자의 자살·자해 속출 file
이주후원회
14542   2005-08-09 2005-08-09 22:47
절망한 이주노동자의 자살·자해 속출 외노협 "천안지방노동사무소가 자살 방기했다" 문형구 기자 강제추방과 임금체불에 절망한 이주노동자들의 자살·자살기도가 속출하고 있다. 카자흐스탄 동포인 아리나씨(44세)가 체류기간이 만료되던...  
1983 [한겨레21]‘반한 이슬람 단체’는 없었다 file
이주후원회
14358   2004-10-22 2004-10-22 13:30
국회의원의 한건주의, 정부의 실적주의, 언론의 받아쓰기가 빚어낸 이주노동자판 ‘시국사건’ ▣ 김소희 기자 sohee@hani.co.kr 일주일 전인 지난 10월13일 밤 텔리비전 뉴스를 보던 국민들은 깜짝 놀랐다. 공중파 방송 3사가 ...  
1982 [조선일보]외국인노동자 센터 박천응 목사 "反韓 분자라니" file
이주후원회
14348   2004-10-27 2004-10-27 13:03
"외국인 노동자문제에 대해 협조해 달라, 조언해 달라고 부탁할 때는 언제고 이렇게 뒷통수를 칠수가 있습니까? 정부에 대해 말할 수 없는 배신감을 느낍니다." 안산외국인노동자센터의 박천응 목사는 지난 22일 자신이 정부에 ...  
1981 또다시, 출입국에 쫓기던 이주노동자 사망 file
이주후원회
14334   2006-04-19 2006-04-19 18:03
민중의 소리http://www.vop.co.kr/new/2006041941530.html출입국 폭력성 갈수록 극심.. 지난해 9월 이후만 4명 출입국관리소의 기습적인 단속이 또 다시 한 이주노동자를 죽음으로 몰아넣었다. 인도네시아 출신 이주노동자인 노루푸아...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