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이 거주 외국인 5만 명 시대를 눈앞에 두고 있다. 여기에 경남과 울산 지역 외국인들을 합치면 무려 16만 명에 달한다. 이제 외국인들은 지역 전체 인구의 1~2% 이상 차지할 정도로 증가하면서 다문화 사회 시대를 연 셈이다. 외국인들의 국내 유입은 최근 급증세를 보이고 있으며, 앞으로도 해마다 자녀를 포함해 12만 명 이상 늘 것으로 예상된다.

부산지역 외국인들은 대부분 근로자와 결혼이민자, 자녀, 유학생들이다. 국적별로는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출신이 대다수이고, 미국인들도 많다. 하지만 단지 외국인 수가 늘었다고 해서 다문화 사회라 자부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국적와 인종 문화 종교 등 다양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어우러질 수 있어야만 하기 때문이다. 그러자면 그들을 사회적 약자 개념에서 접근해 나누고 배려하며, 포용하고 존중해줘야 한다.

하지만 그들을 바라보는 우리 시선에 아직도 차별성이 강한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지난 총선에서 당선된 필리핀계 이자스민 의원에 대한 폭언은 대표적인 사례라 하겠다. 심지어 다문화정책을 민족 말살 정책이라 주장한 것은 국수주의적이며 반인권적 행위로 규탄받아 마땅하다. 그뿐만이 아니다. 이 땅의 다문화 가정 자녀들은 미래 한국의 성장동력이 될 자원들이건만, 폭력과 따돌림 속에 고통받고 있다. 이는 부진하기 짝이 없는 학교 진학률만 봐도 알 수 있는 일이다.

이제 다문화 사회를 체계적이고 실질적으로 돕기 위한 정책에 눈을 돌려야 한다. 외국인지원법안 등이 검토되고 있긴 하나 전국적으로 대동소이한 지원 체계나 사업으로는 그들의 욕구를 풀어줄 수가 없다. 눈높이에 맞춘 효과적인 지원을 해주기 위해서는 전수조사를 실시해서 그들이 진정으로 바라는 것들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부산의 경우 사하구와 사상구, 강서구에 외국인이 절반 가량 사는 게 공단에 취업한 외국인 노동자들이 많기 때문으로 분석되는 만큼 노동 여건과 지원책을 집중적으로 살펴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prof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