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렉시트 이끈 '제노포비아'한국도 부글부글

2016-06-27 15:44CBS노컷뉴스 김정훈 기자


"일자리 빼앗아간다" 이방인 혐오200만 외국인 노동자 시대 대책마련 시급

 

서울 정동 주한영국대사관. (사진=황진환 기자/자료사진)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 브렉시트 결정을 촉발한 건 응축된 이민자 문제다.

 

영국 내 이민자 수는 이미 전체 인구의 13%에 이르는 840만 명.

 

지난해에는 100만 명에 이르는 난민이 유럽에 몰리면서 유럽 사회 전체가 이민자로 골머리를 앓게 됐다.

 

문제는 EU가 이민자들의 권리를 폭넓게 인정한다는 것으로, 현재는 EU 시민이 영국에서 석달간 일하기만 하면 영국인들과 똑같은 대우를 받는다.

 

이로 인해 EU 잔류를 주장했던 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총리 역시 2013년 브렉시트 국민 투표를 제안하면서는 "이민자들이 영국으로 쏟아져 국민 고용이 불안해진다"고 인정하지 않을 수 없었다.

 

결국 이질적 문화의 이민자들을 아울러야 하는 부담감과 이들에게 일자리를 뺏길 수 있다는 제노포비아(xenophobia), 즉 이방인 혐오가 브렉시트의 직접적 원인이 됐다는 분석이다.

 

이러한 제노포비아는 한국도 만만치 않다.

 

국내 체류중인 외국인 수는 200만 명에 육박하는 실정.

 

이 가운데 이주노동자의 수만 헤아려도 103만 명을 넘어서 국내 전체 생산인력의 3%를 차지하고 있다.

 

이주노동자가 밀집한 서울 대림2동과 경기 안산시 원곡본동의 경우 내국인의 비율이 절반 이하로 떨어졌다.

 

하지만 이들을 바라보는 시선에는 거부감이 여전하다.

 

지난 3월 여성가족부가 발표한 '2015년 국민 다문화수용성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주노동자(또는 이민자)를 이웃으로 삼고 싶지 않다'는 인식이 성인 응답자의 31.8%에 달했다.

 

'일자리가 귀할 때 자국민 우선 고용에 찬성한다'는 성인 응답자의 비율은 60.4%로 집계됐다.

 

이와 같은 국내 외국인들에 대한 거부감은 연령대가 높을수록 교육과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컸다.

 

경기 침체가 계속돼 일자리 구하기가 더욱 힘들어지면 한국 역시 브렉시트와 같은 '고립주의', 왜곡된 '민족주의'가 고개를 들 가능성이 적지 않은 것이다.

 

정영섭 이주노동자후원회 사무국장은 "노동력 이동이 자유로운 EU이기 때문에 더 심각한 문제가 표출된 것일 뿐, 한국 역시 언제든 여러 문제의 원인을 이주노동자에게 돌리는 경향이 나타날 수 있다"고 밝혔다.

 

정 사무국장은 또 "외국인 범죄율은 내국인보다 높지 않은데, 이주민 전체를 잠재적 범죄자인 것처럼 인식하는 경향도 있다"면서 "몇몇의 사례를 침소봉대하려는 일각의 의도도 있어 보인다"고 덧붙였다.

 

대개 3D 업종에 종사하는 이주노동자의 노동력이 연관 산업의 필수 요소가 된 만큼, 인식 개선을 위한 다양한 정책들이 서둘러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profile